News

클로잇의 새로운 소식을 발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클로잇, 중소규모 스포츠 대회관리 소프트웨어 ‘스포츠 SaaS’ 출시… 올림픽, 아시안게임 운영 노하우 ‘집약’

  올인원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기업 클로잇(대표 이영수)이 중소규모 스포츠 대회 관리 및 운영을 지원하는 GMS(Games Management System)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클로잇의 GMS는 1988년 서울올림픽 때 SOMS(Seoul Olympic Management System)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었고, 카타르, 카자흐스탄, 인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안게임에서 11회에 걸쳐 운영됐다. 평창동계올림픽 때는 31개의 GMS 세부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공적으로 조직위원회에 제공했다.   클로잇은 스포츠 솔루션 사업으로 얻은 대규모 스포츠 대회 관리 및 운영 기술력과 노하우를 집약해 중소형 스포츠 종합대회나 단일 종목 대회에 적합한 스포츠 SaaS를 출시했다. 기존 대규모 스포츠대회에 적용하던 GMS를 핵심 기능 위주로 개편한 버전으로, 대회 유치와 운영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해 대회 준비에 난항을 겪는 준비위원회 관계자들이 보다 손쉽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저렴한 구독형 서비스 비용정책을 적용해 비용 부담을 줄인 것이 장점이다.   클로잇 이영수 대표는 “글로벌 메이저 스포츠 대회에 국한됐던 당사의 스포츠 솔루션 사업의 범위가 이번 스포츠 SaaS 출시를 기점으로 세계 수많은 지역 로컬종합대회, 스포츠연맹이 주관하는 월드컵대회, 선수권대회 등 예산이 부족한 중소형 이벤트까지 커버하게 됐다”며 “규모에 따라, 이벤트 종류에 따라 확장 적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해 스포츠 SaaS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 클로잇, 우리은행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 구축사업 계약 체결…금융 인프라로 영역 확대

     이미지=우리은행  클라우드 업체인 클로잇이 우리은행과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네이버 클라우드로 인프라를 구축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리은행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로 우리은행이 공인전자문서 중계자 인증 획득 및 자문서 유통 서비스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클로잇은 전자고지시스템과 서비스 인프라 구축, KISA 인증심사 획득 등을 메인 사업으로 중계시스템 핵심 엔진, 사용자 및 관리자용 UI,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인프라 구축 등의 시스템을 개발한다. 회사 관계자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안전한 금융 인프라를 구축해 우리은행에 적용할 예정”이라며 “이후에도 공공,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금융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점유율을 높여가며 선도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양재준 기자 jjyang@wowtv.co.kr 출처 : 한국경제TV(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2170099&t=NN)​ 

    자세히 보기
  • 클로잇,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DevOps 플랫폼 Cloit CAMP 출시...MSP 업계 주목

    이미지=클로잇​ 클로잇은 8일 클라우드 네이티브 핵심 기술과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 경험을 활용한 오픈소스 기반의 Best Practice 패키지로 구성된 클로잇 캠프(Cloit CAMP, Cloud Application Modernization Platform)를 출시했다고 밝혔다.클로잇 캠프는 라이브러리 관리, 소스 및 버전 관리, 정적 코드 분석, 빌드 툴이 하나의 CI/CD 자동화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돼 있다. 통합 모니터링, SR(Service Request) 처리, 통합 로그관리 기능 등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쉽게 배포 할 수 있도록 데브옵스(DevOps) 환경 관리와 쿠버네티스 기반의 컨테이너 서비스를 제공한다.또한, 별도의 작업없이 최신 모던 웹 아키텍처를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시작할 수 있고 통합 모니터링, 통합 로깅, 형상 관리, 서비스 요구사항 처리 기능을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구축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문성진 클로잇 AM/SaaS 개발담당은 "클로잇은 현재 클로잇 캠프를 그룹 내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Project Management System) 현대화를 위한 CENTerr 사업관리 현대화 프로젝트에 우선 적용하고, 향후 고도화를 통해 Sports SaaS 개발 프로젝트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프로젝트에 확산 적용할 계획"이라며 "차별화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MSP 업계에서 점유율을 높여 Big 3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최민정 기자 choimj@sedaily.com출처 : 서울경제TV(http://www.sentv.co.kr/news/view/645567​)

    자세히 보기
  • 1000조 클라우드 시장 잡아라...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현대화(AM) 시장 본격 활성화

    이미지=아이티데일리​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전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지난해 602조 8,238억 원(4,903억 달러)에서 2023년에는 전년대비 20.7% 증가한 727조 6,181억 원(5,91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2025년에는 1,053조 5,585억 원(8,569억 달러), 2026년에는 1,249조 5,408억 원(1조 163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지출액 역시 지난해 5조 1,600억 원에서 올해는 23.7% 증가한 6조 4,7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클라우드 시장 가운데서도 특히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M, Application Modernization) 관련 시장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감염 확산 여파로 기업들은 뉴노멀(New Normal) 비즈니스 환경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뉴노멀 환경의 핵심 요소로 클라우드를 꼽으며 전환 작업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인프라의 퍼블릭 클라우드 전환이 선제적으로 수행됐으며, 전환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즈니스 효율을 높이고자 AM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복수의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AM과 관련된 시장의 성장률은 매년 16.7% 이상 기록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2025년까지 30조 4,916억 원(248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AM을 구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한 클라우드 기업의 관계자는 “AM을 구현하기 위해선 시장 환경 변화에 맞는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자세히는 △비즈니스 적합성 △신속성 △가치 실현 가능성 △전환에 따른 비용 효율성 △복잡성 △위험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IT 기업의 AM 시장 참전 활발 AM과 관련된 시장이 장밋빛을 그리자 국내 IT 기업들도 이 시장에 적극 뛰어들기 시작했다. 먼저 국내 대형 SI기업인 삼성SDS, LG CNS 등은 클라우드 사업 개편을 끝마치고 고도화 단계로 접어든 상황이다. 이들 대형 SI 기업들은 고객사의 비즈니스를 혁신하고자 클라우드 AM 시장을 겨냥, 기술 역량을 집중해 신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먼저 삼성SDS는 클라우드 사업 부분의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올해에는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사업 재구성을 계획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사업 관련해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 등 기업 위주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관리형 서비스 제공(MSP) 사업은 기존 인프라 전환을 넘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소프트웨어(SW)를 재구축하는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에 집중하고 있다. LG CNS도 삼성SDS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전환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클라우드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클라우드 AM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3년 전부터 AM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으로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사업 역량을 키우고 있다.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클라우드 전문기업들 역시 긍정적인 AM 시장 전망을 확인하고 관련 역량 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아이티센의 그룹사인 클로잇의 경우 교육, 공공, 모빌리티, 스포츠 등 분야에서 쌓은 수백억 원 이상의 대규모 응용시스템 개발 및 운영 역량을 토대로 AM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실제로 클로잇은 전년도 매출에서 40%가 AM과 관련된 것으로 조사됐다. 클로잇은 2021년 EBS 인터넷 서비스 전체를 기존 IDC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한 후 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pplication Modernization)를 지속 수행한 바 있다. 또 AM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Cloud Native Platform)도 자체 개발, 솔루션화를 추진 중이다. 클로잇이 개발 중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에는 데브옵스(DevOps) 플랫폼과 클라우드 개발 프레임워크가 포함될 예정이다. 클로잇 박전환 전략기획실장은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퍼블릭 클라우드 중심의 고성장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구축, SaaS 등 클라우드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러한 분야들은 기존 클라우드 인프라 중심의 사업을 진행하던 MSP 사업자들은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로 클로잇은 보유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차별화된 MSP 선도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pajh0615z@itdaily.kr 출처 : 아이티데일리(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12511​)​

    자세히 보기